fnctId=hist,fnctNo=1
2024
03.
01.
학과명 변경
- 대학원 : 이러닝학과 → 에듀테크학과
- 경영대학원 : HR컨설팅전공 → OBHR전공
- 대학원 : 이러닝학과 → 에듀테크학과
- 경영대학원 : HR컨설팅전공 → OBHR전공
03.
01.
대학본부 조직 개편(학칙, 직제 및 사무분장 규정 개정)
- 부서이동 : 학적관리팀(입학학적과 → 학사운영과)
- 부서명 변경 : 입학학적과 → 입학과, 행정지원과 → 총무과, 재정지원과 → 재무과, 시설지원과 → 시설과, 기획평가과 → 전략기획과, 매체운영과·매체개발실 → 디지털미디어과
- 부속시설 신설 : 교육혁신센터, 교원양성지원센터
- 부속시설 폐지 : 인재개발원
- 부서이동 : 학적관리팀(입학학적과 → 학사운영과)
- 부서명 변경 : 입학학적과 → 입학과, 행정지원과 → 총무과, 재정지원과 → 재무과, 시설지원과 → 시설과, 기획평가과 → 전략기획과, 매체운영과·매체개발실 → 디지털미디어과
- 부속시설 신설 : 교육혁신센터, 교원양성지원센터
- 부속시설 폐지 : 인재개발원
2023
11.
27.
남양주시학습관 신축
07.
20.
사회복지학과 1,2학년 과정 신설(입학정원 1,200명)
2022
09.
05.
대학본부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신축 개관
09.
01.
부속시설 인권센터 개소
03.
04.
제8대 고성환 총장 취임
03.
01.
프라임칼리지 학부 및 전공 명칭 변경
- 학부명 변경 : 금융․서비스학부 → 융합경영학부
- 전공명 변경 : 서비스경영 → 마케팅․애널리틱스, 데이터융합공학 → AI
- 학부명 변경 : 금융․서비스학부 → 융합경영학부
- 전공명 변경 : 서비스경영 → 마케팅․애널리틱스, 데이터융합공학 → AI
01.
06.
디지털미디어센터 조직 개편(직제 및 사무분장 규정 개정)
- 디지털미디어센터 → 디지털미디어센터 하위조직 1과 1실 신설
※ 1과 1실 : 매체운영과, 매체개발실
2021
06.
0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정
※ 2021. 07. 13. 시행
※ 2021. 07. 13. 시행
01.
1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제정
※ 2021. 07. 13. 시행
※ 2021. 07. 13. 시행
2020
10.
27.
교육과학대학에 생활체육지도과 신설(입학정원 1,500명)
학사과정 정보통계학과를 통계·데이터과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07.
22.
ICT 기반 교육 및 행정 정보화 사업을 통한 대학 정보화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대학 조직 개편
- 대학본부 행정조직 3처 1국 → 3처 1국 1본부
- 부서명 변경 : 정보전산원 → 교육정보화본부
07.
10.
학생 구성 및 학습 방식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제도 도입을 통한 학업 평가의 유연성 제고를 위한 문제은행시스템 및 온라인시험센터 구축
- 2020학년도 하계 계절수업시험 테블릿PC로 최초실시
02.
25.
대학본부 디지털미디어센터 리모델링 신축 개관
02.
25.
대학본부 지상 주차장 오픈
2019
10.
01.
전공신설 및 조직 개편
- 프라임칼리지 첨단공학부 데이터융합전공 신설
- 경영대학원 입학정원 증원(100명 → 150명)
-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신설(입학정원 50명)
- 학사과정 환경보건학과를 보건환경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 학사과정 불어불문학과를 프랑스언어문화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08.
30.
평생교육 국제협력 분야에서의 방송대 역할을 강화하고자 국제협력단을 부속시설로 신설
08.
30.
홍보전략 필요성 증대에 따른 홍보부서의 역할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부서명 변경(대외협력과 → 대외협력홍보과)
07.
24.
대학본부 열린관 개관
04.
19.
대학평의원회 설치
2018
02.
14.
제7대 류수노 총장 취임
2017
11.
28.
대학본부 나눔관 개관
07.
20.
사회과학대학에 사회복지학과 신설(입학정원 2,000명)
05.
15.
기성회 해산 및 기성회 규약 폐지
2016
07.
05.
국제협력단 발족
06.
29.
서울지역대학 남부학습센터 신축 이전개관
04.
21.
학과명칭 변경 : 가정학과 ⇒ 생활과학과
02.
19.
서울지역대학 서부학습센터 신축 이전개관
2015
11.
20.
국립국제교육원 시설 인수(토지: 9,377.7㎡/건물: 3개동 13,674㎡)
2013
10.
25.
프라임칼리지 학사학위과정 2개 학부 신설(입학정원 2,000명)
- 금융·서비스학부(회계금융전공, 서비스경영전공) 1,000명
- 첨단공학부(메카트로닉스전공, 산업공학전공) 1,000명
05.
27.
(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를 (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으로 명칭 변경
05.
01.
방송대학TV(OUN) 고화질 HD 방송 개시
04.
19.
전북지역대학 신축 이전개관
03.
29.
대전·충남지역대학 신축 이전개관
2012
10.
10.
대학본부 본관 신축 개관
09.
25.
부총장제 신설
08.
29.
동숭대학을 프라임칼리지로 명칭 변경
08.
29.
대학원 경영학과 폐지 및 경영대학원 설립(입학정원 100명)
- HR컨설팅전공, GM전공, 테크노경영전공, 마케팅전공, 재무금융전공, 회계세무전공, 경제정책전공, 국제무역전공
2011
10.
01.
인재개발원 설치
08.
31.
평생대학원을 대학원으로 명칭 변경
04.
01.
부서명을 시대적 흐름 및 기능에 맞게 조직개편
- 부서명 변경 : 수업과→학사운영과, 학적과→입학학적과, 기획과→기획평가과, 총무과→행정지원과, 경리과→재정지원과, 시설과→시설지원과
- 고사관리 업무는 학사운영과(시험관리팀)로 분장
- 부서장 명칭 변경 : 수업과장→학사운영과장, 학적과→입학학적과장, 기획과장→기획평가과장, 총무과장→행정지원과장, 경리과장→재정지원과장, 시설과장→시설지원과장, 학생통합서비스센터 과장명칭(학생통합서비스센터담당관)
2010
12.
0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정원 증원 및 학과 신설(8개학과 400명)
- 정원증원 : 실용영어학과(15명), 경영학과(40명), 가정학과(20명), 이러닝학과(20명), 간호학과(15명)
- 학과신설 : 실용중국어학과(50명), 일본언어문화학과(50명), 법학과(30명), 문화콘텐츠학과(30명), 농업생명과학과(40명), 바이오정보학과(30명), 환경보건시스템학과(30명), 청소년교육학과(30명)
09.
29.
제6대 조남철 총장 취임
09.
14.
경상남도 창원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 통합에 따라 ‘마산시학습관’을 ‘창원시학습관’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통합 창원시의 관할구역 내에 있는 진해시학습관을 폐지
- 진해시학습관 : 2011년 3월 1일자 폐지
08.
30.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학칙을 통ㆍ폐합하고, 학칙 체계를 재정비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칙”으로 단일화